期刊问答网 论文发表 期刊发表 期刊问答

韩国方言论文怎么说

  • 回答数

    3

  • 浏览数

    272

控制工程21
首页 > 期刊问答网 > 期刊问答 > 韩国方言论文怎么说

3个回答 默认排序1
  • 默认排序
  • 按时间排序

浩拽哥

已采纳
虽然,研究的对象是韩语汉字音和中国客家方言,但是由于长久以来语言的演变,以及如今两门语言之间确实存在的巨大差异,导致直接的对比研究显得举步维艰。【비록 연구대상은 한국어 한자음과 중국 객가방언이지만 오래동안의 언어 변화발전및 오늘날의 두 언어 사이에는 확실히 거대항 차이점이 있고 그로하여 집적 대비연구에 전진하기에 어려움이 보인다】在这种情况下,通过对同是这两种语言的鼻祖的中国中古韩语的适当理解,以及韩语汉字音与中国中古音;客家方言发音与中国中古音的比较,通过中国中古音这个媒介来寻找两种语言发音上的共性不失为一条捷径。【이러한 상황하에서 두언어의 조상인 중국의 고사어로 된 한국어를 적당하게 이해하고 한국어 한자와 중국 고사음인 객가방언 발음과 중국 중고음을 통해 비교하고 중국 중고음이란 이 매체를 통해 두언어의 말음의 공통성을 찾는 이 지름길을 잃지 말아야 한다 】 研究过程中,通过将韩语辅音、韩语汉字音辅音、客家方言声母以及中国中古音声母根据发音部位与发音方式,以表格的形式展现出来。从而轻而易举的找到其相互之间的共性与差异。【연구중에 한국어의 자음, 한국어 한자음 자음,객가방언의 성모 및 중국 중고음 성모에 따라 발음 부위와 발음 방식을 통하여 도표양식이 출현했다그래서 아주 쉽게 상호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本论文对韩语汉字音和客家方言的对比是共时比较,所谓共时研究就是对两种语言在同一历史时期内其特点的比较,这是相对于历史比较的一种研究方法。【본 논문에서 한국어 한자음과 객가방언의 대비는 동시대의 비교인데 바로 동시대 연구는 두언어가 동일한 시기내의 특점의 비교이다 이것은 상대적인 역사비교의 일종의 연구방법이다】通过共时比较了解当今韩国语和客家方言的特点,进行的比较研究更具有现实意义和时代性。【동시대의 비교를 통해 당시의 한국어와 객가방언의 특점을 이해하고 비교 연구에 현실적인 의의와 시대적인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어한자음과 중국객가방언이지만 오래동안 언어의 연변,그리고 그두가지 언어 사이에 확실이 존재한 거대한 차이가 있기 대문에 직척한 대비연구가 너무 어렵다【虽然研究对象是韩国语汉语音和中国客家方言,但是很长的历史的演变以及两个语言之间,确实存在巨大的差异,所以面临的研究有相当大的困难。】

韩国方言论文怎么说

121 评论(14)

lishuolinaaa

논문 non moon
135 评论(11)

Bettyssss

논문 non mun这个正确的发音用拼音很难标大致这个音
357 评论(8)

相关问答